반응형
이동평균선(MA)은 주가의 흐름을 평균값으로 나타내는 선이에요.
기간이 길수록 급등락에 덜 흔들리고 안정적인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리해요.
✅ 1. 일봉 기준 (단기 매매용)
- 20일선 → 단기 추세 확인용
-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는 선이에요.
- 급등 후 눌림목 매수 시, 지지 여부 확인에 자주 사용돼요.
- 60일선 → 중기 안정 기준
- 일정 기간 횡보하다 돌파하면 추세 전환 신호로 해석돼요.
- 거래량이 동반된 60일선 돌파는 신뢰도가 높아요.
- 120일, 200일선 → 장기 추세 기준
- 장기 상승 전환을 판단할 때 사용돼요.
- 기술적 반등이 아닌 진짜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볼 수 있어요.
✅ 2. 주봉 기준 (중장기 매매용)
- 20주선 (약 5개월)
- 주봉상 추세 전환 시 가장 먼저 확인하는 기준선이에요.
- 상승 추세에선 강한 지지, 하락 추세에선 강한 저항 역할을 해요.
- 60주선 (약 1년 2~3개월)
- 중장기 안정성 판단에 가장 신뢰도 높은 선이에요.
- 기관·외국인도 매매 기준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요.
저는 중장기매매를 하기때문에 주봉에서 33선을 추가해서 저만의 매매 기준으로 보고 있어요.^^
✅ 3. 월봉 기준 (장기 투자용)
- 12개월선 (1년 평균)
- 가치투자자나 연금 투자자들이 주로 보는 지표예요.
- 월봉상 12개월선을 돌파하거나 지지하면 장기 상승의 시작일 수 있어요.
- 24~36개월선
- 매우 안정적인 장기 흐름 판단용.
- 주식뿐 아니라 부동산, 원자재, ETF 투자자들도 참고하는 선이에요.
🟢 마무리 요약
구분안정적 이평선특징
일봉 | 60일, 120일선 | 중기~장기 추세 전환 확인 |
주봉 | 20주, 60주선 | 상승/하락 추세의 기준 |
월봉 | 12개월, 24개월선 | 장기 흐름의 안정성 판단 |
📍 참고 팁
- 이평선은 단독으로 보기보다 거래량, 캔들 패턴, 뉴스 흐름과 함께 분석하면 더 정확해요.
- 특히 이평선들이 정배열(단기선이 장기선 위에 있는 상태)이면 더 안정적인 상승 흐름으로 볼 수 있어요.
📌 33일선(33MA)은 어떤 이평선인가요?
✅ 1. 33일선의 성격
- 단기와 중기의 중간 성격
→ 20일선보다 느리고, 60일선보다는 빠른 반응을 보여요.
→ 추세 확인 + 매수/매도 타이밍 잡기에 유용하다는 평가가 있어요. - 주가의 중심을 나타내는 선으로 사용되기도 해요.
→ 횡보장이나 조정장에서 33선을 지지하는지 여부를 보면
눌림목 매수 구간을 판단할 수 있어요.
✅ 2. 33일선의 활용 예
- 상승장에서는 33선이 지지선 역할을 하고,
- 하락장에서는 저항선 역할을 자주 해요.
- 20일선은 흔들림이 많고, 60일선은 너무 느리다고 느낄 때
- 눌림목 매수를 판단할 때 지지선 기준으로
- 급락 후 반등 구간에서 거래량과 함께 돌파 여부를 체크할 때
📌 특히 하락 추세 중 33선 돌파 + 거래량 증가가 나오면
→ 단기 상승 전환 신호로 보는 트레이더들이 있어요.
✅ 3. 실전에서는 이렇게 봐요
비교 대상특징33선의 위치와 역할
20일선 | 단기, 예민함 | 흔들림이 많음 |
33일선 | 중단기, 적당한 반응 | 중심축, 지지선 또는 저항선 |
60일선 | 중기, 안정적 | 추세 전환의 핵심 기준선 |
✅ 4. 주의할 점
- 기관, 외국인은 주로 20/60/120일선을 기준으로 삼아요.
→ 그래서 33일선은 일반적인 시장 지표로는 덜 쓰이지만,
자신만의 매매 기준으로 삼기엔 괜찮은 보조선이에요. - 단독 사용보다는 다른 이평선과 함께 분석하는 게 좋아요.
→ 예: 20선, 33선, 60선 배열을 보며 추세 강도 판단
✍️ 마무리
33일선은 흔하진 않지만,
"단기와 중기 사이를 정밀하게 보고 싶을 때" 사용하는 보조 지표로 괜찮은 도구예요.
개인 투자자 중에서도 눌림목 매수, 중간 지지선 분석용으로 자주 활용하는 분들이 많아요.
'⭐주식기초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 시간외 거래란? 초보도 이해하는 3가지 거래 방식 (4) | 2025.05.27 |
---|---|
"이동평균선 흐름만 알아도 매매 타이밍이 보입니다" (0) | 2025.05.22 |
"PVI 크로스 신호란? 매수·매도 타이밍 잡는 법 정리" (2) | 2025.05.19 |
주가가 비싼지 싼지 어떻게 판단할까? (6) | 2025.05.17 |
2025년에도 유효한 배당주 찾는 기준 정리했어요 (11) | 2025.05.17 |